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ThunderBird에서 Google Calendar 활용

ThunderBird는 우리가 잘하는 FireFox 브라우저를 만든 Mozilla에서 제작한 메일관리 프로그램이다. 보통 Outlook이 대표적이라 생각하지만 ThunderBird가 보다 메일 표준을 잘 지키며,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프리웨어라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좋은 점은 ThunderBird는 수많은 확장 플러그인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이를 활용해서 Google Calendar를 연동하여 따로 로그인 하지 않더라도 ThunderBird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Google Calendar는 안드로이드 폰이나 태블릿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일정관리를 위해 많이들 사용한다. 이를 PC에서 편리하게 사용하는 방법이 Vista까지는 지원이 되었다.(궁금하신분은 Google calender 바탕화면을 검색해 보기 바란다) 하지만 7부터는 해당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며 gadget도 더이상 MS의 지원을 받지 않는다. 때문에 만족스럽게 사용할 방법이 많이 줄어들었다.

우선 ThunderBird 다운로드 페이지를 통해 ThunderBird를 설치하자(설치 및 메일 세팅에 대해서는 굳이 언급하지 않겠다. 대부분이 잘 알지 않는가? 더군다나 ThunderBird는 왠만한 웹메일은 거의 반자동으로 연동이 된다.)

ThunderBird - http://www.mozilla.org/ko/thunderbird/
메일 설정을 모두 마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나는 플러그인이 좀더 설치되어 있어 화면이 살짝 다를수 있다.


상단의 탭에 Google Calendar가 있는 것이 보이는가 해당 탭을 클릭하면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한 플러그인 설치과정은 도구 -> 부가기능 으로 이동하여 Google Calendar를 검색하면 


다음과 같은 검색 결과들이 나타난다. 이중 가장 상단에 있는 Provider for Google Calendar 0.18을 설치하자. 다른 플러기은을 입맛따라 골라도 되지만 나는 해당 플러그인이 제일 낫다고 생각한다.

설치를 완료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으로 Calendar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UNIX C errno 정리( 에러 번호 )

#define EPERM   1   /* Operation not permitted      */ #define ENOENT  2   /* No such file or directory        */ #define ESRCH   3   /* No such process          */ #define EINTR   4   /* interrupted system call      */ #define EIO 5   /* I/O error                */ #define ENXIO   6   /* No such device or address        */ #define E2BIG   7   /* Arg list too long            */ #define ENOEXEC 8   /* Exec format error            */ #define EBADF   9   /* Bad file descriptor   ...

I,P,B 프레임

출처 -  http://microdev.tistory.com/116 정화상으로 압축된 프레임을 I 프레임, 예측만을 한 프레임을 P 프레임, 보간을 한 프레임을 B 프레임이라 한다.  엠펙 비디오는 이들 세 종류의 프레임들이 일정한 패턴으로 섞인 것이다. I-프레임(Intra-coded frame) 데이타 스트림의 어느 위치에도 올 수 있으며, 데이타의 임의 접근을 위해 사용되며, 다른 이미지들의 참조 없이 부호화된다. I-프레임은 정화상 압축방법(JPEG)을 이용하지만, JPEG과는 달리 MPEG에서는 실시간으로 압축이 이루어진다. I-프레임의 압축은 MPEG에서는 가장 낮은 압출률을 보인다 I-프레임은 매크로 블럭내에서 지정된 8*8 블럭으로 나눈 후, DCT 기법을 사용한 후, DC계수는  DPCM 방법으로 부호화하는데, 연속한 블럭 사이의 차이값을 계산한 후 가변 길이 코딩을 사용하여 변환한다. . P-프레임(Predictive-coded frame) 부호화와 복호화를 행할 때 이전의 I-프레임 정보와 이전의 P-프레임의 정보를 사용한다. P-프레임은 연속되는 이미지들의 전체 이미지가 바뀌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의 블럭들이 옆으로 이동한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즉, 움직임이 있는 경우 앞화면에 있는 물체 자체의 모양에는 큰 변화없이 옆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전의 화면과 현재의 화면의 차이가 매우 적은 것을 이용하여 차이값만을 부호화하는 것이다. B-프레임(Bidirectional-coded frame) 부호화와 복호화를 행할 때 이전, 이후의 I-프레임과 P-프레임 모두를 사용한다. B-프레임을 사용하면 높은 압축률을 얻을 수 있다. B-프레임은 이전의 I-또는 P-프레임과 B-프레임 이후의 I-또는 P-프레임의 차이값을 가진다. I-프레임으로 시작하는 연속적인 화상들의 집합을 GOP(Group Of Picture)라고 한다. 아래그림은 화상들의 GOP를 나타내는 것이다. B-프...

시리얼(Serial) 이란?

출처 - http://www.ni.com/white-paper/2895/ko/#toc4 시리얼은 거의 모든 PC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는 디바이스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시리얼의 개념을 USB의 개념과 잘 구분하십시오. 대부분의 컴퓨터에는 2개의 RS232 기반 시리얼 포트가 있습니다. 시리얼은 또한 여러가지 디바이스에서 계측을 위한 일반 통신 프로토콜이며, 여러 GPIB 호환 디바이스에는 RS232 포트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원격 샘플링 디바이스로 데이터 수집을 하는 경우에도 시리얼 통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리얼 통신의 개념은 간단합니다. 시리얼 포트는 정보의 바이트를 한번에 한 비트씩 순차적으로 송수신합니다. 한번에 전체 바이트를 동시에 전달하는 병렬 통신과 비교하면 시리얼 통신은 속도가 느리지만 훨씬 간단하며 장거리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병렬 통신용 IEEE 488 스펙을 보면 기기간 케이블링은 총 20 m 미만이어야 하며, 두 개의 디바이스간은 2 m 미만이어야 합니다. 반면 시리얼 통신은 최대 1.2 Km의 통신거리를 보장합니다. 통상 엔지니어들은 ASCII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시리얼 통신을 사용합니다. 이 때 송신용 (Tx), 수신용 (Rx), 그라운드용 (GND)의 세 가지의 전송 라인을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시리얼은 비동기식이므로 포트는 한 라인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다른 라인에서 데이터를 수신합니다. 핸드쉐이킹용 라인도 사용 가능하지만 필수 요구사항은 아닙니다. 시리얼 통신의 가장 중요한 특징에는 보드 속도 (baud rate), 데이터 비트, 정지 비트, 패리티가 있습니다. 두 개의 포트가 통신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파라미터가 반드시 적절하게 맞춰져야 합니다. 보드 속도는 통신의 속도를 측정하는 수치이며 초당 비트 전송 숫자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300 보드 속도는 초당 300 비트를 의미합니다. 엔지니어들이 흔히 말하는 클럭 주기는 보드 속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프로토콜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