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CBR vs VBR: Surveillance Streaming

CBR vs VBR: Surveillance Streaming

by John Honovich, IPVM posted on Jan 17, 2012 About John Contact John


How you stream video has a major impact on quality and bandwidth. Typically, when people think streaming or encoding, CODECs such as H.264, MPEG-4, etc come to mind. However, regardless of the CODEC, one still needs to choose how the video stream handles changes in scene complexity. This is where streaming modes such as CBR and VBR come into play. They have a major impact on quality and bandwidth consumption. In this report, we provide a tutorial and recommendation on how to optimially choose and use streaming modes.
CBR vs VBR
Choosing between CBR and VBR modes is typically overlooked:
  • CBR stands for constant bit rate and like the term implies aims for a constant or unvarying bandwidth level
  • VBR stands for variable bit rate and like that term implies allows the bit rate to vary
You need to determine whether and how much you will allow the bit rate levels to vary.
Why the Difference
What you are filming can vary dramatically in complexity:
  • If you have a camera zoomed in on a white wall during the day, that is a very simple scene. For a 'good' quality level, a 720p HD / 30fps stream might need 200 Kb/s for this. 
  • By contrast, if you have a camera aimed at a busy intersection, this is a very complex scene. At the same exact settings as the first scene, you might need 20x the amount of bandwidth, or 4,000 Kb/s to maintain the 'good' quality level.
The more complex the scene, the more bits (i.e., bandwidth) you need to maintain the same quality level. It does not matter how 'good' or 'advanced' your codec is, this will always be the case.


--출처 : http://ipvm.com/report/vbr_vs_cbr_surveillance_streaming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UNIX C errno 정리( 에러 번호 )

#define EPERM   1   /* Operation not permitted      */ #define ENOENT  2   /* No such file or directory        */ #define ESRCH   3   /* No such process          */ #define EINTR   4   /* interrupted system call      */ #define EIO 5   /* I/O error                */ #define ENXIO   6   /* No such device or address        */ #define E2BIG   7   /* Arg list too long            */ #define ENOEXEC 8   /* Exec format error            */ #define EBADF   9   /* Bad file descriptor   ...

시리얼(Serial) 이란?

출처 - http://www.ni.com/white-paper/2895/ko/#toc4 시리얼은 거의 모든 PC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는 디바이스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시리얼의 개념을 USB의 개념과 잘 구분하십시오. 대부분의 컴퓨터에는 2개의 RS232 기반 시리얼 포트가 있습니다. 시리얼은 또한 여러가지 디바이스에서 계측을 위한 일반 통신 프로토콜이며, 여러 GPIB 호환 디바이스에는 RS232 포트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원격 샘플링 디바이스로 데이터 수집을 하는 경우에도 시리얼 통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리얼 통신의 개념은 간단합니다. 시리얼 포트는 정보의 바이트를 한번에 한 비트씩 순차적으로 송수신합니다. 한번에 전체 바이트를 동시에 전달하는 병렬 통신과 비교하면 시리얼 통신은 속도가 느리지만 훨씬 간단하며 장거리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병렬 통신용 IEEE 488 스펙을 보면 기기간 케이블링은 총 20 m 미만이어야 하며, 두 개의 디바이스간은 2 m 미만이어야 합니다. 반면 시리얼 통신은 최대 1.2 Km의 통신거리를 보장합니다. 통상 엔지니어들은 ASCII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시리얼 통신을 사용합니다. 이 때 송신용 (Tx), 수신용 (Rx), 그라운드용 (GND)의 세 가지의 전송 라인을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시리얼은 비동기식이므로 포트는 한 라인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다른 라인에서 데이터를 수신합니다. 핸드쉐이킹용 라인도 사용 가능하지만 필수 요구사항은 아닙니다. 시리얼 통신의 가장 중요한 특징에는 보드 속도 (baud rate), 데이터 비트, 정지 비트, 패리티가 있습니다. 두 개의 포트가 통신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파라미터가 반드시 적절하게 맞춰져야 합니다. 보드 속도는 통신의 속도를 측정하는 수치이며 초당 비트 전송 숫자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300 보드 속도는 초당 300 비트를 의미합니다. 엔지니어들이 흔히 말하는 클럭 주기는 보드 속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프로토콜에 ...

기본적인 Mutex 초기화 방법들

출처 :  http://hkpco.egloos.com/898623 유닉스 시스템 계열에서 제공되는 pthread에서 동기화를 위하여 mutex라는 것이 자주 사용되는데, mutex 변수 초기화 시에 사용되는 방법이 대표적으로 두 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원래는 더 많지만 "가장" 기본적인 초기화를 기준으로) 그 중 하나가 바로 PTHREAD_MUTEX_INITIALIZER 이며, 해당 mutex를 default 속성으로 초기화 시켜줍니다. pthread.h 헤더에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 #define PTHREAD_MUTEX_INITIALIZER \   {0, 0, 0, PTHREAD_MUTEX_TIMED_NP, __LOCK_INITIALIZER} ==============================================================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pthread_mutex_t mutx = PTHREAD_MUTEX_INITIALIZER; int main( void ) {         return 0; } ---------------------------------------------------------------------- PTHREAD_MUTEX_INITIALIZER 사용시 주의할 점은 pthread_mutex_t type이 구조체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변수 선언 이후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다시말해, 선언과 동시에만 사용이 가능함), static mutex 전용이라는 것입니다. 즉, dynamic mutex 에서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전에 말한 mutex 변...